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학사과정

  • home
  • 학사과정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교육과정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BUS2011 마케팅조사방법 3 6 전공 학사 경영학과 Yes
본 과목은 마케팅관리자로서 마케팅 정보를 어떻게 생산, 분석, 이용하는가를 이론적으로 배우고, 직접 학생들이 실습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계학이나 계량경영분석기법을 수학적으로 깊이 다루기 보다는, 이러한 기법을 왜, 언제 사용하는가를 배운다. 대개의 마케팅조사를 전문가(회사)에 의뢰하는 경우에, 어떻게 조사를 하는가보다는 왜 하고, 언제 하는것인가를 마케팅관리자는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BUS3031 마케팅커뮤니케이션 3 6 전공 학사 경영학과 - No
본 과목은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계획수립과 실행에 관련된 주요 이론과 사례들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1)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IMC)에 관련된 주요 이슈들 2)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론과 모델들 3)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관리를 위한 전략들을 다룬다.
CHS2003 빅데이터와인공지능을활용한시스템강건설계 2 4 전공 학사 1-4 도전학기 Yes
본 교과목에서는 공학 시스템의 성능 유지와 고장 진단 등 건전성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기초 이론 및 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신뢰성 분석, 센서 기반 빅데이터 획득, 빅데이터 신호 처리, 통계적 영향인자 추출, 인공지능 기반 모델링 기법 등에 관하여 이론적 방법론 및 실습 기반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사례 소개를 통해 학습한 방법론 적용을 통한 공학 시스템 강건 설계에 관하여 고찰한다.
CHS2017 신인류포노사피엔스경험디자인 3 6 전공 학사 1-4 도전학기 - No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시작한 인류는 급변하는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소비심리, 소비 행동, 시장 생태계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는 새로운 인류가 혁명의 주인공인 포노 사피엔스다. 소비문명의 변화로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플랫폼이 발전 및 진화됨에 따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를 학습한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에 따른 디지털 경험디자인(Digital Experience Design)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학습한다. 기업이 포노 사피엔스라는 새로운 소비자를 위해 급변하는 트렌드에 따라 새로운 비즈니스 혁신 및 변화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해한다.
CHS2018 브랜드를만드는스토리텔링 3 6 전공 학사 도전학기 Yes
현대 마케팅은 디지털화의 흐름 속에서 데이터 기반의 퍼포먼스 마케팅과 Programmatic 광고처럼 성과를 중시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소비자의 행동(제품 다운로드, 구매, 페이지 방문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마케팅 본연의 목적과 소비자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편이다. 마케팅은 단순히 행동을 유도하는 것을 넘어, 그 행동의 심리적·사회적 동인을 이해하고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특히 전통적 마케팅 캠페인과 콘텐츠 마케팅의 핵심 영역에 속한다. 이 수업은 스토리텔링 마케팅을 중심으로 콘텐츠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브랜드의 정체성을 구축하거나, 브랜드를 리뉴얼하거나, 브랜드를 젊게 만든(Rejuvenation) 스토리, 조직을 혁신시키거나 조직 문화를 변화시키거나 브랜드를 프리미엄화 한 스토리, 위기를 극복하거나 글로벌로 확장시키거나 새로운 카테고리를 창출시킨 스토리, 고객 충성도를 강화하거나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한 스토리 등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브랜드가 스토리를 활용하여 성공과 실패를 경험한 과정을 분석하며, 학생들에게 브랜드 마케팅 전략의 깊이와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AI를 통해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대에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스토리를 창출해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CHS7004 Python활용인문사회과학논문쓰기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도전학기(대학원) Yes
논문을 쓰기 위한 과목으로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연구를 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을 쓰기 위한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논문 쓰기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하며, 논문을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프로그래밍 처리를 학습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가운데 인문사회과학 관련 자료를 처리하기 가장 적합하며, 자료 시각화 기능이 뛰어난 파이선을 활용하여 논문 쓰는 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논문 작성을 위한 기본 적인 연구 방법론 및 논문 내용 구성에 대한 이론 강의가 우선 진행된다. 논문 작성을 위하여 주제 선정 및 토론이 진행된다. 주제가 선정되면 관련 연구 정리 방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다음 과정으로 연구 방법론에 따라 필요한 내용 작성에 대한 학습이 진행된다. 제언 및 참고 문헌 정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여 이론적 접근법을 완성한다. 파이선 활용을 통한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본적인 파이선 문법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며, 입력 자료 처리를 위한 실습을 진행한다. 각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파이선 패키지 설치 방법 및 활용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 후, 실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실습이 진행된다. 공동 연구 진행을 대비하여 쥬피터 노트북 (jupyter notebook) 사용법을 기본 환경으로 설정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자료 가시화를 위한 matplolib 활용법을 학습하며,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pandas 활용을 학습한다. 이 과목의 목적은 각 전공 분야에 필요한 연구를 파이선 언어로 프로그래밍 구현을 실행하여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정 기간 내에 논문 1편 완성을 목표로 한다.
CHS7007 AI기반미디어텍스트이해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도전학기(대학원) Yes
이 교과목은 학생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뉴스, 광고, 영화,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미디어 텍스트를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연어 처리(NLP)를 통한 감성 분석, 키워드 추출, 요약 기술과 함께 CNN, GAN 등의 모델을 활용한 이미지·영상 데이터 해석 기술을 학습하며, AI 생성 콘텐츠의 신뢰성과 윤리 문제에 대한 고찰도 포함한다. 수업은 이론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며, Python 기반 AI 모델(GPT, Gemini AI 등)을 활용한 분석 과제 및 프로젝트를 통해 실전 중심의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CHS7008 AI기반전략적의사결정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도전학기(대학원) Yes
본 과목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고급 역량을 체계적으로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단순한 데이터 분석 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하며, AI가 생성한 방대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본 교과목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학생들이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협력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을 설계하였다. 본 과목에서는 먼저 AI의 기본 원리와 생성형 AI 시스템의 동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AI가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텍스트, 예측 결과 등)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나아가 AI가 생성한 정보의 오류 가능성과 편향 문제를 식별하고, 신뢰성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는 훈련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 특히 AI 의사결정 과정의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고, 책임 있는 AI 활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단순 기술 습득을 넘어 사회적 책임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관점을 기를 수 있다. 이 과목은 단순한 데이터 분석 교육을 넘어, 인간과 AI의 협력 모델을 전략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기업 경영, 의료, 금융, 공공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AI 기반 의사결정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반 전략적 문제 해결 과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실제 산업 및 공공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질적 의사결정 역량을 갖추게 된다. 또한 본 교과목은 글로벌 교육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였다. MIT의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cision Making (Course 6-4)', Stanford의 'CS 372: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easoning,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카네기멜론대학교(CMU)의 'SDS 88436 - Human-AI Complementarity for Decision Making'과 같은 선진 대학 과정을 벤치마킹하여, 최신 흐름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를 아우르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기술은 앞으로 모든 산업과 사회 전반을 재편할 것이다. 본 과목은 이와 같은 변화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학생들은 AI의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이해하고, 인간 중심적 사고를 기반으로 AI와 협력하여 전략적 결정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기른다. 나아가, 미래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조직을 혁신으로 이끄는 AI 기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다진다. 본 과목은 단순한 AI 활용법을 넘어, 전략적 사고와 혁신적 리더십을 갖춘 AI 활용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지금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핵심 교과목이다.
CNT3017 문화예술콘텐츠산업PBL 3 6 전공 학사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 No
본 수업은 실제 콘텐츠 스타트업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테크놀로지 융합을 활용해 문화산업과 사회 전반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사회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이 과정에서 가설의 도출, 사례 조사, 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말하기와 글쓰기 스킬을 훈련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법이 담긴 사업계획안을 최종적으로 작성하게 된다.
CNT3028 소셜미디어스타만들기 3 6 전공 학사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 No
성공하는 유튜버와 인플루언서가 가진 특징은 무엇인가? 기존 대중문화에서의 셀러브리티가 갖는 특성과 디지털 시대 셀러브리티의 특성은 어떻게 다른가? 양 세계 셀러브리티의 특성 중 호환 가능하고 가능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이 수업은 인기와 명성을 만들어내는 미디어와 대중문화의 동인(動因), 플랫폼과 콘텐츠의 특성 등을 역사, 마케팅, 비즈니스, 기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CNT3042 소셜미디어스타만들기2 3 6 전공 학사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 No
소셜미디어스타만들기(CNT3028)에서 익힌 유명인·유명세의 요소와 디지털 콘텐츠 기획,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채널 관리 방법을 실제로 활용하는 과목이다. 한 학기 동안 디지털 채널을 개설, 운영하면서 콘텐츠와 방문자를 관리하고, 이로부터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게 된다. 학기 초 대비 학기 말 채널의 영향력 (예: 구독자수, 조회수, 기타 인게이지먼트 등)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기준으로 평가된다.
CNT3044 인터랙티브콘텐츠와가상콘텐츠내러티브 3 6 전공 학사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 No
이 수업은 앞으로 등장할 수 있는 다양한 ‘비 단선적(nonlinear)’,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구조를 다룬다. 특히 인터랙티브한 기술적 특성이 스토리텔링의 전통적 개념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콘텐츠 산업에 어떤 기회를 제시할 것인지를 탐구한다. 특히 게임, 인터랙티브 영화/드라마, VR 콘텐츠,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IT 가술과 독자(audience) 참여가 기존의 콘텐츠 구조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다중 관점/시공간의 뒤틀림/복수의 스토리라인 등 어떤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CNT3045 콘텐츠커머스 3 6 전공 학사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 No
미디어커머스는 소셜미디어는 물론 국내외 수많은 기업들에서 시도하는 새로운 유통 채널이자 플랫폼 사업이다. 이 수업은 쇼핑몰, 포털,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커머스 활동을 학습하고, 전통적인 TV홈쇼핑 활동과의 근원적 차이를 알아보며, 기업/인플루언서/일반인의 콘텐츠 활동이 커머스에 어떤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학기 중반부터는 학과가, 혹은 학생들이 직접 준비한 상품을 콘텐츠 활동을 통해 실제 판매하는 실습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콘텐츠 커머스의 성공요인을 직접 느끼게 된다.
CNT3046 소셜데이터분석 3 6 전공 학사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 No
이 과목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 추출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의 종류와 분석을 학습한다.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활동으로부터 남기는 정형 트래픽 데이터는 물론 비정형 자연어 데이터 등을 어떻게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지를 다루며,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트렌드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행동을 읽어내며 더 정교한 마케팅 타깃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CON3032 소비자빅데이터분석 3 6 전공 학사 2-4 소비자학과 Yes
소비자 관련 정형빅데이터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머신러닝 방법론을 학습한다. 머신러닝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도학습 알고리듬을 소비자빅데이터 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프로그램 실습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COV3002 유비쿼터스사회와소통능력 3 6 전공 학사 3-4 융합원 학부 - No
본 과목은 유비쿼터스 사회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미디어 2.0으로 불리는 현재의 미디어 혁명은 사회의 전반에 큰 영향력을 동반하고 있다. 이 변화와 사회적 진화의 실체를 밝히고, 이것을 어떻게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디지털 기술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윤리문제 또한 논한다. 미디어 생태계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된 사회적 의미를 제시한다.
ERP4001 창의심화탐구 3 6 전공 학사/석사 교무팀 교육연구 - No
이 과목은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를 병행하는 교과목으로서, 연구수행능력을 일정 수준 갖춘 학사과정생들을 중심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학사과정생이 자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설계되었다. 학생들은 과학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문사회, 문화예술 분야의 융합과 통섭을 기반으로 과학적 탐구력과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신장에 적합한 창의 주제 탐구 수행한다. 또한 본 과목은 학제간 융합주제에 대한 교육-탐구설계-수행-논문지도-결과발표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ISS3266 Digital Strategies in Media and Communication 3 6 전공 학사 1-4 국제하계대학 Yes
This course presents a clear overview of the digital media strategies for business and offers opportunities for acquiring analytical skills of performing integrated strategic communication (ISC) functions in digital environments. Topics coveredinclude search engine optimization, pay-per-click advertising, email marketing, big data, digital/social media analytics, social media management, content strategies, and mobile marketing. Through online module sessions, class assignments, discussions, andsimulation project, students will be able to implement an integrated digital media campaign. Attention will also be given to working knowledge of the digital analytics tools for creating, managing, executing, and evaluating digital strategies
ISS3308 UX Accessibility 3 6 전공 학사 국제하계대학 - No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how the Accessibility discipline integrates within an effective UX Design and Development environment.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foundations of Digital Accessibility and its evolution into a critical component of UX and development teams, product offerings, and design systems (where applicable). Modern accessibility represents the effort to remove the obstacles present for many people who can’t participate and enjoy the same experiences as others without assistive technology or special accommodations. This goes beyond people with low-vision and physical disabilities to include cognitive, hearing, and other challenges. This course will cover the established and detailed WCAG guidelines used by designers and developers to ensure consistent and meaningful accessibility, plus current and forward-looking test methodologies employed by Accessibility researchers.
ISS3309 Writing with AI 3 6 전공 학사 국제하계대학 Yes
How is artificial intelligence reshaping the way we write, think, and communicate? This course explores the impact of AI on writing practices across disciplines, from creative expression to professional communication. Students will engage in lectures and hands-on lab sessions to examine the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AI-powered writing tools, while discussing topics such as originality, authorship, and ethics in the age of automation. No prior technical background is required—only curiosity about language, technology, and how the two intersect in today's world.
ISS3310 Health Data Analytics and AI 3 6 전공 학사 국제하계대학 Yes
What diseases tend to occur more frequently in neighborhoods near chemical plants? How can an oncologist view and understand the long-term progression of cancer in one of her patients? The course will introduce students to a broad range of informatics and data analytics methods used to answer these kinds of questions. The course will focus on building students’ practical skill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both structured and unstructured clinical data by taking them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methods to understand trends in individual and population health. By taking this course, students will become aware of the range of tools in a medical informatician’s toolbox and learn which ones to use to answer their own clinical or population health research questions. This course is appropriate for early-stage graduate students or advanced undergraduates in the computer & information science or health sciences. No prior programming experience is assumed, but many course activities require students to interpret lines of code and run pre-written code segments to analyze data.
ISS3311 Human Creativity in the Age of AI 3 6 전공 학사 국제하계대학 Yes
This course examines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crea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y integrating discussions of science fiction, the history of AI developments, and contemporary AI-enabled art, students will explore how AI influences and expands the boundaries of human artistic and creative expression.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how to build their own customized GPTs and the basics of effective prompt engineering to use AI to improve their writing and image-creation abilities.
ISS3312 Digital Storytelling: Experiential Media Narratives 3 6 전공 학사 국제하계대학 Yes
This course is a production-centric course covering interactive multimedia, also called “digital storytelling.” This course deals with practical philosophy and techniques about multimedia production throug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Photoshop®, Illustrator®, Premiere Pro®, Animate CC®,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WordPress®). The course will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specific skills, competencies, and points of view needed by professionals in the field most closely related to multimedia, including animation, digitization, web coding, and video production. It expects students to acquire skill sets in working with others as a member of a team or an individual. Students develop creative capacities through designing and creating multimedia products. Students will be given assignments on electronic media practices such as interviews, audio, video, and other needed written assignments as scheduled in the course. Students are also required to complet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s.
MCJ2005 사이버커뮤니케이션론 3 6 전공 학사 2-3 - No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미디어 공간이 생성한 사이버 영역 내에서 전개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들에 대해 주목한다. 이들 현상에 대한 이론적 탐색들뿐만 아니라 실제 적용사례들에 대해서도 논의하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이 기존의 신문, 방송, 출판, 잡지, 영화, 광고, 홍보 등의 분야에서 어떻게 수용되며 활용되는가에 대해서도 고찰하게 된다.
MCJ2023 방송영상콘텐츠실습 3 6 전공 학사 2-3 Yes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방송 영상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는 실습 기회를 갖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반적인 방송 영상 콘텐츠 기획과 제작 과정에 관해 현업과 사회적 측면에서 소개할 것이다. 학생들은 방송 영상 콘텐츠 기획과 제작의 기초적 요소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실습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MCJ2024 뉴스보도실습 3 6 전공 학사 2-3 Yes
뉴스 보도와 관련된 기초 이론 및 실습 중심의 교과목으로 방송, 신문, 온라인을 아우르는 다양한 매체에서 뉴스가 어떻게 생산되어 보도되는지에 관한 심화된 학습을 목적으로 함. 원소스 멀티유스의 통합 뉴스룸 환경에 적합한 뉴스보도와 관련하여, 팩트의 수집, 취재원 인터뷰, 삼각확인, 큐시트 및 기사 작성, 리포팅에 이르기까지 뉴스보도의 단계별로 자기주도적 심화학습을 수행함.
MCJ2030 언론실무교육 3 6 전공 학사 2-3 Yes
미래의 언론인을 지향하는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취재, 기사작성, 영상편집, 보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종합적인 언론실무교육을 실시하는 수업. 소수정예의 인원을 대상으로 맞춤형 집중 교육을 통해 잠재적 언론인으로서의 소양을 강화하고 실무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목표한다. 국내외 유수 언론사와의 협력을 통해 인턴십을 커리큐럼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
MCJ2034 미디어산업과비즈니스입문 3 6 전공 학사 2-3 - No
본 과목은 미디어 산업의 작동원리와 미디어 기업의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수강생들은 다양한 법칙과 이론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장을 분석한다. 또한 수강생들은 전략경영, 마케팅, CSR, 인사, 재무 등의 관점에서 미디어 기업을 분석한다. 수강생들은 미디어 산업을 구조와 성과 혹은 미디어 기업의 세부 전략을 분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표한다.
MCJ2035 디지털광고제작실습 3 6 전공 학사 1-4 Yes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광고를 기획, 제작하는 실습 기회를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반적인 광고의 개념과 광고효과를 위한 창의적인 전략을 소개할 것이다. 학생들은 기획과 제작의 기초적 요소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자기주도적 실습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MCJ2036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 6 전공 학사 2-3 - No
본 과목은 다양한 유형의 대인관계(가족, 친구, 연인, 직장동료, 의사-환자 등) 커뮤니케이션을 다룬다. 대인관계의 시작-유지-종료와 같은 대인관계 발전 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탐색할 것이다. 또한 대인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분야(커뮤니케이션학, 심리학, 사회학 등)의 이론들을 살펴볼 것이다.